서민의 꿈과
삶의 감각이 스며든 옛날 노래
한반도에 공연예술음악이 꽃피기 시작한 시점은 17-18세기 무렵으로 본다. 공연예술의 하나인 음악은 공연을 팔아 먹고사는 음악가가 있고 이것을 사서 즐기는 향유자가 있어야 성립 가능한 갈래다. 그래서 음악은 아무 곳에서나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었다. 경제적 자유가 있는 곳에서 문화적 향유의 욕구가 적극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것이었으므로 큰 도시, 큰 시장, 인구가 많고 돈이 많은 지역에서 공연예술이 활발히 꽃을 피웠다. 서울은 조선 시대부터 가장 많은 인구와 돈이 있던 수도이다. 조선 후기 음악이 꽃피었을 때 서울 사람들은 어떤 음악을 즐겼고, 공연을 보기 위해 기꺼이 돈을 내놓았을까?
신분 사회였던 조선 시대 사람들은 상류층이 즐기던 음악을 지향하는 태도와 좀 더 자극적이고 대중성이 강한 음악을 즐기는 두 가지 양면성을 갖고 있었던 듯하다. 전자의 방향성이 가사와 가곡, 시조 같은 정가(正歌)로 향했다면, 후자의 끝 언저리에 사당패소리가 자리했을 것이다. 그리고 잡가에는 위의 두 가지 양면성이 함께 담겨 있다. 잡가는 19세기 말 사계축 소리꾼들에 의해 크게 유행했다. 사계축이란 현재의 용산구 청파동 주변을 이른다. 이 지역은 세곡 운송의 중심지였고, 도시에 공급하는 농작물인 채소를 집중적으로 가꾸거나 수공업을 담당했던 지역이었다. 유명한 잡가 소리꾼 조기준은 갓을 만드는 이었고, 박춘경은 밭을 가는 농부였다. 채소 공급이 없는 겨울 한 철 채소 보관용 움집에서 소리를 부르고 놀았던 전통이 잡가의 시작이었다. 보통의 서울 사람들이 이 음악을 만들고 이끌던 것이었다. 그리고 잡가는 그들이 꿈꾸었던 상층 지향과 대중예술적 취향이 녹아 있는 서울의 소리이다.
양일에 걸쳐 선보일 잡가의 세계
‘긴잡가’는 한배가 길어서 긴잡가이다. 앉아 부르므로 좌창, 12곡이 있어 12잡가로 부르기도 한다. 긴잡가를 앉아서 부른다는 것은 앉아 부르는 양반음악을 벤치마킹한 결과이기도 하고, 겨울철 움집에서 듣고 즐기던 공간적 전통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양반음악의 가사와 유사하지만, 판소리의 가사를 상당 부분 수용했다는 점에서 보다 대중적이기도 하다. 음악에 있어서는 정적이고 긴 호흡에 고른 발성을 추구하여 듣는 이도 편안하게 가라앉히는 지식인들의 정서적 지향이 남아 있다. 11월 25일 공연에 오르는 소춘향가(최수안), 제비가(최주연), 적벽가(최주연·성슬기·최수안), 26일 공연에 불릴 선유가(견두리), 유산가(김민지), 출인가(최정아), 이렇게 여섯 곡이 ‘긴잡가’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