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골기획공연 <예인, 한옥에 들다>
오늘의 예인 - 박송희 인터뷰
최고령 소리꾼의 삶이 녹아든 소리
글_김보나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흥보가 보유자 박송희
‘신의’를 지키라는 스승의 말씀을 따라 소리에 대한 신의, 그리고 사람에 대한 신의를 지키며 살았다.
어렵고 힘든 시기를 굽이굽이 넘어 이제, 봄날 만개한 꽃처럼 온화한 미소로 관객과 마주하는 소리꾼, 박송희를 만나본다.
음악 학교, 광주권번에서 창극단까지
박송희는 1927년 전남 화순에서 태어났다. 유달리 음악을 좋아했던 어린 박송희의 재능을 알아본 사람은 어머니였다. 어머니는 그녀를 ‘광주권번’에 입학시켰는데 그때의 ‘광주권번’은 지금의 음악 학교나 다름없는 곳이었고 그렇게 소리꾼 박송희의 삶이 시작됐다.
“권번에 들어가 몇 년간 소리 공부를 하고 졸업과 동시에 ‘동일창극단’에 입단했어요. 창극단에 유명한 선생님들이 많이 계셔서 거기서 연기도 배우고 토막소리도 배웠죠.”
박송희가 19살이 되던 해, 동일창극단은 해방운동을 위해 만주로 떠났고 어린 나이에 만주까지 따라갈 수 없었던 그녀는 고향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극단이 신의주에 있을 때 조국은 해방을 맞았고 그길로 돌아온 창극단 사람들은 조국에서 농촌계몽운동을 시작했다.
“극단 사람들이 계몽운동 하는데 '같이 갈래?' 하기에 따라 나섰어요. 그때 광주 경찰청장의 차를 타고 다녔는데, 거기서 남편도 만났죠.”
소리 인생을 열어준 스승, 박녹주
박녹주는 박송희에게 본격적인 소리 인생을 열어준 스승이었다.
남편과 함께 광주에 살던 박송희가 서울로 다시 올라온 건 임방울의 연락이 있었기 때문이다. 임방울은 소리로 ‘통정대부’의 품계까지 받았던 동편제 소리꾼, 이동백 선생의 추모식에 가자며 박송희를 서울로 불렀고 서울에 올라온 박송희는 그 길로 활동을 시작했다. 하지만 시부모를 모셔야 했기 때문에 곧 광주로 돌아올 수밖에 없었는데 이후 시모가 세상을 떠나고 나서 다시 서울로 올라왔다.
“시어머니가 돌아가시고 3년 상을 지낸 뒤에 서울로 다시 올라왔어요. 그때 소리가 배우고 싶어서 돈도 없이 무작정 박녹주 선생님을 찾아갔죠. 근데 선생님께서 ‘돈이 무슨 필요가 있나! 소리만 잘하면 됐제. 사람은 신의만 있으면 된다’하시곤 저를 제자로 받아주셨어요. 그때부터 선생님이 계시던 종로로 또, 면목동으로 소리 공부를 하러 다녔죠.”
박녹주는 어려운 시절 배까지 굶으며 공부하러 찾아오는 제자를 위해 조용히 어묵을 사서 먹이며 은근하고 깊은 사랑을 제자에게 주었다. 박녹주는 박송희에게 본격적인 소리 인생을 열어준 스승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