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남산골기획공연 - 국악, 시대를 말하다

언니들의 국악

홍대에서 노는 언니 - 정민아, 차승민, 최민지

글_이은혜

홍대에서 노는 언니들. 왼쪽부터 정민아, 차승민, 최민지

 

여러분은 ‘홍대’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모르긴 몰라도 ‘젊음’, ‘활기’, ‘자유’, ‘트렌드’와 같은 단어들이 연상되지 않을까 싶어요. 저 역시 홍대를 참 좋아하는데요. 특히 저녁 무렵의 홍대는 온갖 아티스트들의 천국이 되곤 하죠! 기타 하나, 젬베 한 통 들고 자리만 잡으면 어디서나 훌륭한 공연을 펼칠 수 있는 곳! 수많은 인디 뮤지션들이 홍대에서 데뷔하고, 뮤지션으로서의 인지도를 높여가곤 해요. 그러고 보면 홍대는 젊은 예술가들을 인큐베이팅 해주는 고마운 공간일 수 있겠네요!

 

홍대, 국악을 만나다!

합동무대를 선보이고 있는 정민아, 차승민, 최민지

 

지난 7월 3일, 남산골기획공연 – 국악, 시대를 말하다 <언니들의 국악> 두 번째 날에는 홍대에서 활동하는 국악계 언니들의 콘서트가 열렸습니다. 아티스트로는 모던 가야그머 정민아, 대금 연주자 차승민, 해금하는 막내언니 최민지 씨가 나와 주셨어요. 정민아, 차승민, 최민지 씨는 홍대에서 국악기를 기반으로 활동하며 탄탄한 인지도를 쌓은 ‘홍대 언니들’인데요. 이번 공연에서 너무도 멋진 3인 3색의 무대를 보여주셨습니다.

    

​ 

해금하는 막내언니 최민지, 남심(男心)을 사로잡다

홍대에서 노는 막내 언니, 최민지 공연

 

첫 공연은 해금하는 막내언니, 최민지 씨의 무대로 시작되었습니다. “제가 서교동 느낌은 이제 좀 알겠는데, 아직 필동 분위기는 잘 몰라서요. 그냥 서교동 스타일로 이야기 하겠습니다.”

어찌나 귀엽고 사랑스럽던지요! 자칫 엄숙해질 수 있는 국악당 무대를 달콤한 훈내로 가득 채워준 언니였습니다. (공연 인터미션 시간,무심했던 남성들이 최민지 씨 앨범을 사러 줄을 섰다는 전설이...)

최민지 공연, 해금 연주  

 

최민지 씨는 기타 연주와 해금 연주를 자유롭게 섞어가며 노래를 해주었어요. 특별히 우리 국악을 현대적인 감성으로 재해석한 곡들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 두 곡은 <하늘이 맑아서>와 <아리랑-그녀의 노래>였어요. <하늘이 맑아서>는 조선 중엽의 문장가 임제의 <북창이 맑다커늘>이라는 시조를 현대적인 감성으로 풀어낸 곡이었는데요.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읽었던(기억이 나지 않을 뿐, 보았을 겁니다!) 임제의 시조가 이렇게 현대적인 노래로 바뀔 수 있구나~ 싶어서 더욱 신기하고 솔깃했던 것 같아요. 하나의 고전으로만 남을 뻔 했던 시조를 현대적 감성으로 재해석해준 최민지 씨께 감사의 마음이 들었답니다.

 

<아리랑-그녀의 노래>는 이별하는 여자의 심정을 그리는 감성적인 음악이에요. 절제된 가사와 자연스러운 음악, 애틋한 해금 소리가 훌륭한 조화를 이룬 곡이었습니다. 최민지 씨는 이 곡으로 제 12회 MBC 대학가요제에서 금상을 받기도 했답니다. 받을 만 해요~ 받을 만 해 ^^

 

대금하는 언니 차승민, 시(詩)로 놀다

홍대에서 노는 둘째 언니 차승민

 

첫 번째 무대가 끝난 후 등장한 둘째 언니는 대금 연주자 차승민 씨였습니다. 단아하고 차분한 목소리와 말투로 관객석의 집중도는up,up! 작곡가이자 기획자이기도 한 차승민 씨는 현재 ‘시로(詩路)’라는 밴드의 리더로 활동하고 있어요. ‘시로’는 말 그대로 ‘시’를 가지고 음악을 만드는 밴드랍니다. 시는 소설이나 희곡에 비해 함축적이고 은율이 살아있어서 노래로 만들기 좋은 장르잖아요! 밴드 ‘시로’는 이런 시구에 한국의 전통음악인 정가와 민요의 정서를 담아내거나, 즉흥적이면서도 실험적인 연주음악을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답니다. 이번 공연에서는 2015년에 발표한 2집 앨범 <골목환상>에 수록된 곡을 들어볼 수 있었습니다!

차승민이 이끄는 음악그룹 '시로(詩路)'

 

차승민 씨의 무대가 더욱 인상적이었던 것은, 음악이 흐르는 동안 무대 뒤에 스크린 영상이 흘러나오는 점이었어요. 첫 번째로 들려준<문래동을 걷다 보면>에서는 실제로 문래동 공장지대의 모습이 담긴 영상이 계속 흘러나왔답니다. 끊임없이 돌아가는 선풍기나 톱니바퀴, 온갖 철물들의 모습... 한 편의 뮤직비디오를 보는 것 같기도 하고, 비디오 아트를 보는 것 같기도 했어요. 음악은 공장지대가 많은 문래동을 걸으며 느꼈던 감정을 음악으로 표현했다고 합니다. 국악기에는 정말 어울리지 않을 거라 생각했던 각종 이펙터와 루프스테이션(하나의 테마를 녹음해 플레이 시키며 그 리듬에 멜로디를 더빙하는 기능의 이펙터)을 사용해, 문래동 공장지대의 소음과 반복되는 일상을 더욱 실감나게 표현한 것 같았어요. 사실 대금이라는 악기는 깊은 숲속을 생각나게 할 만큼 깊고 고즈넉한 느낌이라고만 생각했는데, 도심 속의 공장 지대를 표현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이 새로웠어요.

 

이밖에도 신림동 고시촌 골목길에서 만난 고시생들의 뒷모습을 보며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는 현대인’들의 답답함을 표현한 <나는>이라는 곡도 인상적이었습니다. 정이엽 시인의 시<나는>을 가지고 와 음악으로 만들었다고 하네요. ^^

 

모던 가야그머 정민아, 시대를 연주하다

홍대에서 노는 선녀언니 정민아

 

마지막 무대를 장식해준 뮤지션은 홍대의 선녀 가야그머 정민아 씨! (본인을 “홍대 시조새”라고 소개하시더군요.) 정민아씨는 2004년부터 인디씬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국악계에 신선한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킨 뮤지션이에요. 국악 연주자 및 관객들에게 ‘국악기로도 현대음악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몸소 보여준 전설과도 같은 분이랍니다.

모던 가야그머 정민아 공연 

 

무대에서 만난 정민아씨는 몹시 털털하고 유머러스하신 분 같았어요. 공연이 조금 길어지는 듯 하자 “금요일인데, 다들 집에 가실 거예요? 건전하게 시리”라고 농담을 던지며 사람들의 마음을 풀어주기도 했답니다. 그 털털함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것은 역시나 연주 실력이었지요. ^^ 참고로 공연에서 불러주신 <무엇이 되어>는 2011년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도 실린 유-명하고도 교육적인(?) 노래랍니다.

 

그러나 제게 특별히 인상 깊었던 곡은 <서른세 살 엄마에게>라는 곡이었어요. 이 곡은 정민아 씨가 서른세 살이 되던 해에 자신의 어머니를 생각하며 만든 곡이라고 합니다. 정민아 씨의 어머니는 서른세 살에 지금의 민아 씨를 낳았다고 해요. <서른세 살 엄마에게>는 어린 딸을 데리고 ‘온갖 병이 다 낫는다는’ 목욕탕에 다니셨던 어머니를 추억하며 만든 곡이라고 합니다. 노래 가사는 담담한데, 이상하게 엄마를 생각하는 딸의 마음이 각별하구나~ 라는 느낌을 주는 곳이었어요. 어딘가 모르게 ‘세상의 모든 엄마들은 모두 닮은 구석이 있다’는 생각도 들었고요. 그래서 더 좋은 곡이었던 것 같습니다. ^^ 개인적인 이야기지만,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노래였거든요!

 

서교동 출신 언니들? 이제 필동에서 노는 언니들!

각각 가야금, 대금, 해금을 가지고 합주를 선보이는 아티스트들

 

공연의 마지막에서는 정민아+차승민+최민지의 합동 무대가 펼쳐졌습니다. 곡명은 전래 민요 <새야 새야> 였는데요. 이 노래가 만들어진 근원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있다고 해요. 가장 유력한 설은 아래와 같아요.

 

"동학 농민 운동(1894) 때에 일본군이 푸른색 군복을 입어 파랑새는 일본군을 뜻하며, 전봉준이 녹두장군이라 불리었던 점을 보아 녹두밭은 전봉준, 동학농민군을 상징하고 청포장수는 백성을 상징한다는 것이 유력하다."

 

고난 받는 민중의 역사를 떠올리게 하는 노래죠. 어찌 보면 지금의 시대를 말하는 데에도 무리가 없는 곡인지 모르겠네요. 저마다의 색을 지닌 세 분이 아티스트들의 목소리로 담아낸, 감성적이면서도 담백한 마무리 공연이었습니다.

이번 공연에서 만난 ‘언니들’은 모두 저마다의 삶을 이야기 했던 것 같아요. ‘시대’라는 거대한 담론 안에서 뜬구름 같은 이야기를 하기보다는, 지금을 몸소 살아가는 개인의 역사를 가지고 진솔한 무대를 만들어 주었답니다. ^^ 음악만큼이나 이야기도 많이 오간 콘서트라서, 마치 좋은 언니와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누고 돌아선 듯 마음이 꽉 찬 밤이었습니다.